포기하고 출력하라
‘글쓰기는 당신의 생각이 얼마나 불완전한지를 보여주는 최선의 방법이다.’
이 문장을 읽고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엔지니어는 늘 더 나은 방법을 찾기 위해 고민합니다.
비효율적인 알고리즘은 더 효율적으로,
가독성이 떨어지는 코드는 더 이해하기 쉽게,
복잡한 폴더 구조는 더 단순하게 개선하려고 노력하죠.
당신이 엔지니어링을 학교에서 배우거나
실무에서 몇 년 경험을 쌓아봤다면 깨닫게 되는 진리가 있습니다.
‘완벽한 엔지니어링은 존재하지 않다,’ 는 사실입니다.
여러분의 사고 과정도 마찬가지입니다.
완벽할 수는 없지만,
엔지니어링처럼 개선할 수 있습니다.
글쓰기는 사고를 더 날카롭게 다듬어 줍니다.
글을 쓰려면 구체적인 사고 과정과 정확한 개념 이해가 필요하며,
간결하고 명료하게 표현해야 합니다.
여러분이 아는 가장 똑똑한 사람을 떠올려 보세요.
말도 잘하고, 코딩도 잘하고, 글도 잘 쓰는 그 사람 말입니다.
그는 어떤 과정을 거쳐 지금처럼 능숙해졌을까요?
우리는 말과 코드, 그리고 글을 통해 그 사람의 사고 과정을 엿볼 수 있습니다.
여러분도 그 사람처럼 될 수 있습니다.
바로 꾸준한 글쓰기 연습을 통해서요.
우리는 어떻게 글을 잘 쓸 수 있을까요?
아니, 잘 쓰기 이전에 어떻게 글쓰기를 시작할 수 있을까요?
매일 알고리즘 문제를 풀듯,
매일 한 줄의 코드를 커밋하듯,
글쓰기도 그렇게 꾸준히 반복해 보세요.
처음 글쓰기를 시작할 때, 저에게 가장 도움이 되었던 조언이 있습니다.
시작보다 마무리를 배우는 것이 저에게는 더 큰 깨달음이었습니다.
시카고 대학 글쓰기 매뉴얼의 마지막 장은
포기하고 출력하라.로 끝난다. 글을 쓰는 모든 사람에게 시간은 늘 부족하기 마련이고, 완벽한 글이란 도달하기 어려운 목표이다. 시간이 허용하는 한도까지 최선을 다한 후, 마지막에는이 세상에 완벽한 글이란 없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고 최종 편집, 출력, 제출 등을 제시간에 마무리해야 한다. 이러한 ‘포기’도 모든 사람들에게 공통적인 글쓰기의 과정이라는 점을 생각해야 한다.쓴다는 행위는 과감하게 마침표를 찍는 일이다.
완벽을 포기하고, 출력하세요!
여러분이 써 나갈 첫 글이 무척 궁금합니다.
부담 없이 초안을 출력하고 메일로 보내주세요!
zettalyst@gmail.com 으로 초안 기다릴게요!
Good luck.